유산균이란?
유산균은 살아있는 미생물이다. 즉, 장까지 무사히 실어 날랐다면 이젠 건강히 적창해 살 수 있도록 잘먹어야 합니다.
포도당 또는 유당과 같은 탄수화물을 먹이 삼아 젖산을 만들어 내는 일종의 세균입니다. 유산균이 당으로부터 '산'을 만드는 과정을 발효라 하며,
오랜기간 동안 유산균은 유익균의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유산균이 제일 좋아하는 먹엇감은 풍부한 섬유소 따라서 과일, 채소, 잡곡 등 유산균 증식에
도움이 되는 식품을 꾸준히 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김치, 장아찌, 된장, 간장, 고추장, 청국장, 식초, 젓갈류 등의 발효식품도 장에 서식하는 유산균을 돕는
만큼 매일 한 가지씩이라도 섭취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균을 장에서 안정적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유산균을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제품을 돌아가면 복용하는것보다는 한가지 제품을 꾸준히 먹는 것이 좀 더 효과적입니다.
-비타민제를 먹는다면 유산균을 먼저 먹은 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균은 공복에 먹는 것이 좋고 식전에 먹는 것이 좋지만 식후 바로 먹어도 상관없습니다.
-금속수저가 유산균을 죽인다는 것은 속설일 뿐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 유산균은 쓸모가없을까? 유산균은 죽어도 단백질로서의 기능과 식이 섬유의 역할을 합니다.
-아침을 꼭 챙겨먹습니다.
-하루 1.5~2리터의 물을 마십니다.
-짜고 단것보다 시고 쓴것이 도움이 됩니다.
-식사하는 동안 현미 흑초나 과일 식초를 물에 희석해서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을 섞어 먹는것이 효과적이며, 비타민이나 미네랄, 초유 성분의 약제 등을 함께 복용하면 유산균의 생착을 도와줍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꾸준한 섭취입니다.
잔병치레가 많은 아이 때문에 걱정이라면 유산균에 주목! 최근 면역력 강화는 물론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암, 감기 등 다양한 질환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지면서
유산균이 건강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유산균은 위산이 적게 분비될 때 먹는것이 좋습니다. 위산에 약한 유산균은 아침 기상 직후와 같은공복 시간대를 피해 먹는것이 좋습니다.
공복 상태에서 섭취할 때에는 물을 많이 마셔서 위산을 희석시킵니다. 밥을 먹고 유산균을 섭취할 때는 식후 30분이 적당합니다.
유산균으로만 된 제제는 부작용과 내성이 없으므로 꾸준히 복용해도 괜찮습니다.
아이가 태어나서 유익한 균을 빨리 만날수록 평생을 같이 할 상주균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특히 태어나서 처음 3개월간 생긴 세균들이 상주균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수험생을 위한 음식 (0) | 2015.08.20 |
---|---|
한번잃으면 돌이길수없는 시력! 눈건강하게 관리하는법 (0) | 2015.08.14 |
지친심신을 달래주는 몸에좋은 건강차 (0) | 2015.08.10 |
적녹색맹, 청황색맹 선천성 색각이상과 후천선 색각이상 차이점 알아보기 ! (0) | 2015.08.08 |
충혈의 원인과 증상, 치료에 대해 알아보기 ! (0) | 201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