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백내장의 원인과 피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정보/건강

by luckyock 2015. 7. 29. 15:21

본문

반응형

백내장이란

 


눈은 사진기의 구조나 원리가 비슷한테 그 중에서도 눈속의 수정체는 사진기의 렌즈에 해당합니다.


사진기의 렌즈가 더러워지면 사진이 희미하게 찍히듯이 우리 눈의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면서 빛이 잘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희미하게 보이는데 이와 같이

 

수정체가 탁해지는 병을 백내장이라고 합니다.

 

 

 

 


백내장의 원인

 


수정체 혼탁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서 시력의 장애가 다양합니다. 크게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구별되며 혼탁의 진행 상태에 따라서 정지성과 진행성이있습니다.


백내장에서 수정체 혼탁의 증가는 수정체 내의 알파 크리스탈린 단백질의 변성에 수반되는 불용성 단백질의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백내장에서 가장 많은 것은 노안성 백내장입니다. 눈의 노화로 백내장이 발생하지만 60대에서 70%, 70 대에서 90%, 80세 이상이 되면 거의 100%의

 

사람들이 백내장에 의한 시력저하가 나타날 수있습니다.

 

 

 

 

 

백내장 치료방법

 

 

 백내장

 

 

<초기 : 눈이 침침해지는 단계>


백내장 초기에는 약물치료(점안액)를 시행합니다. 약물치료는 백내장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는 있지만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완치를 돕는 것은 아닙니다.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혼탁한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적 방법이 필요합니다.

 

 

 

<중기 : 사물이 흐려 보이는 단계>


이 때부터 수술적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중기에는 사물이 이중으로 보이는 복시현상이 나타나거나 실내에서 햇빛 속으로 나갈 때 잘 안 보이는 현상이 심해지

 

면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겪습니다. 이런 경우 수술을 통해 교정이 가능합니다.

 

 

 

 

<말기 : 시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단계>

 

시력이 극도로 저하되며 녹내장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수술을 통해 완전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