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이란
녹내장(綠內障, glaucoma)이란 눈 안의 압력, 즉 안압이 높은 상태이며 이 높아진 안압에 의해 시신경이 눌려서 손상을 받고 그 결과 시야가 좁아지거
나 변화를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대개 방수(房水)의 생성과 배출 경로에 이상이 있을 때 일어납니다.
경우에 따라서 배출 경로는 정상인데 방수가 과다하게 생성되어 안압이 높게 되기도 하지만, 주로 배출 경로가 막혀 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것은 하수구가 막혀 있는데 수도꼭지에서는 계속 물방울이 흘러나오는 경우와 같습니다. 안압이 높아지면 눈의 각 부분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나, 그 중 특히
가장 약한 부위인 시신경유두(視神經乳頭)가 뒤로 밀리게 되어 시신경이 손상받는 결과가 초래됩니다.
시신경 중에서도 주변 시력을 담당하는 시신경섬유가 먼저 장애를 받고 차차 장애 범위가 넓어지면서 제일 나중에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시신경섬유가 영향을
받습니다. 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노인들은 70대에 이르면 약 70%가 백내장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녹내장 증상 및 종류
녹내장 증상
시력이 떨어진 것을 느꼈을 때는 이미 치료가 많이 늦거나 치료방법을 찾기 힘들 때가 많습니다. 녹내장으로 인한 실명을 예방하는 유일한 방법은, 비록 아무런
불편이 없더라도 적어도 1년에 한 번 정도는 안과에서 녹내장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도 녹내장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시력이 떨어진다.
기분이 안좋고 오심 및 구토증세가 있다.
불빛을 보며 그 주위에 무지개 같은 것이 보인다.
눈에 이물질이 들어간 느낌이 있다.
계단을 내려가기 힘들다.
두통 : 머리가 아프거나 무겁다.
어깨가 결린다.
눈이 무겁고 쉽게 피로를 느낀다.
눈이 흐리다.
사시처럼 보이기도 한다.
녹내장의 종류
녹내장은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으나 대표적인 두 가지 녹내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안압이 서서히 증가하여 시신경이 조금씩 손상 받기 때문에 안압 상승과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환자 자신이 전혀 느끼지 못하는 원발 개방각녹내장
입니다. 둘째는 안압이 갑자기 그리고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안압 상승으로 인한 눈의 통증과 충혈, 두통 등의 증상과 시력장애가 뚜렷한 급성 폐쇄각녹내장입니다.
그 외에도 신생아, 유아 또는 어린이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선천 녹내장과, 안압은 정상범위 이지만 녹내장성 시신경 장애가 있는 정상안압 녹내장이 있습니다.
눈의 외상, 염증, 종양, 백내장이나 당뇨병의 진행, 그리고 스테로이드 안약의 사용 후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속발녹내장도 있고 일시적으로 안압이 올라간
녹내장과 유사한 질환도 있습니다. 한편 안압은 높지만 시신경 장애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고안압증'이라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녹내장과 같이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 원발 개방각 녹내장
안압이 서서히 증가하여 시신경이 조금씩 손상 받기 때문에 안압 상승과 시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환자 자신이 전혀 느끼지 못합니다.
* 폐쇄각 녹내장
안압이 갑자기 그리고 급격히 상승하기 때문에 안압 상승으로 인한 눈의 통증과 충혈, 두통 등의 증상과 시력장애가 뚜렷합니다.
* 선천성 녹내장
신생아, 유아 또는 어린이에게 드물게 발생합니다.
* 정상안압녹내장
안압은 정상범위이지만 녹내장성 시신경 장애가 있는 경우입니다.
* 고혈압증
안압은 높지만, 시신경 장애가 없는 경우입니다.
* 속발 녹내장
눈의 외상, 염증, 종양, 백내장이나 당뇨병의 진행, 그리고 스테로이드 안약의 사용후에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Td 예방접종 (파상풍과 디프테리아에 대한 면역력을 유지) (0) | 2015.07.30 |
---|---|
백내장의 원인과 피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0) | 2015.07.29 |
근시, 난시, 원시란 무엇이며, 고도와 초고도의 기준알아보기 (0) | 2015.07.25 |
비문증(날파리증)과 올바른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15.07.24 |
어린이 약시의 원인과 개선법 알아보기 (0) | 2015.07.23 |